[Spring] 스프링 Server, DB의 구성 (1/2) - with kotlin #7 본 예제는 Spring 5.x &Spring boot 2.3.0 버전을 사용합니다. 또한 Kotlin (v1.4.20)로 예제를 작성하며 IntelliJ CE를 사용합니다. Spring boot를 이용하면 autoconfiguration을 통해 대부분의 구성이 자동으로 결정됩니다. 다만 개발/production에 대한 분기가 필요하거나, DB의 설정, 서버의 포트, 로그파일 생성 위치 등 기본 설정을 변경하고 싶다면 수동으로 이런 것들을 지정할 수 있습니다. 스프링은 여러 곳의 환경에서 설정된 설정값을 기반으로 설정값을 세팅합니다. 여기서 말하는 여러곳의 환경은 아래와 같습니다. 운영체제의 시스템 속성 JVM의 속성 jar를 command로 수행 시 전달받는 argument application.prop.. 개발이야기/Spring & Ktor Framework 4년 전
[Spring] 스프링 DB 접근 및 활용 - JPA (2/2) with kotlin #5 본 예제는 Spring 5.x &Spring boot 2.3.0 버전을 사용합니다. 또한 Kotlin (v1.4.20)로 예제를 작성하며 IntelliJ CE를 사용합니다. JPA를 이용하면 앞선 내용에서 사용했던 JdbcTemplate보다 좀 더 간략한 코드를 만들 수 있습니다. 앞서 언급했던 내용들 중에 중복되는 작업이나 표현은 가능한 생략 합니다. 따라서 앞선 포스팅을 먼저 읽고 오시기를 추천합니다. 2020/12/29 - [개발이야기/Spring Framework] - [Spring] 스프링 DB 접근 및 활용 - JPA (2/2) with kotlin #4 환경설정 JPA를 사용하기 위해 pom.xml에 dependency를 추가합니다 org.springframework.boot spring-b.. 개발이야기/Spring & Ktor Framework 4년 전
[Spring] 스프링 DB 접근 및 활용 - JdbcTemplate (1/2) with kotlin #4 본 예제는 Spring 5.x & Spring boot 2.3.0 버전을 사용합니다. 또한 Kotlin (v1.4.20)로 예제를 작성하며 IntelliJ CE를 사용합니다. 앞서 스프링 MVC를 이용한 웹 어플리케이션 개발에 이어 DB에 접근하는 방법에 대해서 얘기해 봅니다. 스프링에서 JDBC를 지원하기 위해서 기본적으로 JdbcTemplate를 사용합니다. 물론, JdbcTemplate을 사용하지 않고, dataSource.getConnection()부터 시작해서 DB에 접근할 수 있지만 JdbcTemplate를 사용함으로써 불필요한 코드들을 줄여 줍니다. 또한 JPA를 이용하면 JdbcTemplate보다 더 간소화하여 DB에 접근이 가능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JdbcTemplate에 대해서 설.. 개발이야기/Spring & Ktor Framework 4년 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