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droid Service간 통신 #3 LocalBinder를 이용한 통신이전 글에서는 Activity와 Service간 통신을 위하여 local binder를 이용하여 사용하는 방법을 설명하였다. 이때 사용한 두가지 방법은 아래와 같다 1. Local binder를 이용한 service객체 자체를 넘김. 2. Local binder를 이용하여 handler를 Messenger로 wrapping 한 뒤에 binder로 넘김. 1번의 경우 단방향 통신이 가능하나, 예제에서 처럼 작성시 상호참조가 발생할수 있으니, Service에 추가로 정의된 함수를 호출하기 위한 interface를 하나 구현 하는것이 좋다. ResultReceiver를 이용한 통신여기서는 ResultReciever를 이용하여 단방향으로 Activity 개발이야기/Android 7년 전
Android Service간 통신 #1 Service의 종류Android의 서비스는 간단히 구분하면, 내부/외부 서비스로 나눠진다. 내부 서비스는 말그대로 앱 안에서 서비스를 호출하는걸 말하고, 외부 서비스는 앱간 호출이 가능한 서비스라고 할 수 있다. 내부 서비스 역시 startService()로 서비스를 띄우는 로컬서비스와 bindService()를 통하여 서비스를 띄우는 bind 서비스로 나눠볼 수 있다. 이 글에서는 내부 bind service에 대해서 다루고자 한다.외부 bind service (RPC)에 대해서는 다음 포스팅에 다룬다. bind Service를 이용한 통신startService()와 bindService()의 차이가 뭘까? srartService()로 서비스를 만드는경우 intent에 번들로 어떤 정보를 전달할 수 .. 개발이야기/Android 7년 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