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droid] Compose 성능 최적화 - Code tips #2 Compose는 기존에 xml보다 심플한 구현을 제공합니다. 선언형 UI framework에 대한 장점은 기본 도입부의 개요부터 지속적으로 나오고 있는 내용들이라 여기서 더이상 언급하지는 않습니다. 다만, 구현의 편리성과 modern항 개발 방식을 지원하는 한편 성능에 대한 이슈가 끊임없이 나옵니다. 즉 화면에 그리기는 쉽지만, 빠르게 그리려면 Compose의 동작방식을 이해하고 개발자 스마트하게 코드를 작성해야 합니다. 이번 블로그에서는 초보 compose 개발자들이 composable function을 구성하면서 정확한 사용방법에 대한 이해가 부족했던 부분들을 채워보는 형태로 진행합니다. 이글은 android 공식 developer 페이지의 compose 성능 파트와, android dev summi.. 개발이야기/Android 2년 전
[Compose] 4. 상태관리 - hoisting, mutableState, remember, rememberSaveable, Parcelize, MapSaver, ListSaver State 란? Room database부터 클래스의 변수까지(최하위에서부터 최상위레벨 까지) 앱은 시간에 따라 계속적으로 상태가 변화합니다. Android의 앱들은 이렇게 변화하는 상태를 사용자에게 화면에 표시하여 인지하도록 해 줍니다. 예를 들면, 네트워크가 끊어졌을 때 Snackbar로 알림 표시 블로그의 포스팅과 댓글 표시 버튼을 눌렀을 때 ripple 효과 사용자가 사진 위에 그려서 붙이는 sticker 이 글에서는 앱에서 Compose로 상태를 표시할 때 해당 상태가 어디에 위치해야 하며, 어떻게 저장되고 사용되는지에 대한 내용을 다룹니다. 또한 Jetpack Compose에서 이러한 상태들을 연결하고 관리하기 위해 제공하는 API들에 대해서 얘기합니다. 이 글은 Android develope.. 개발이야기/Android 4년 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