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tlin] 코틀린 람다 #1 - 기본 문법 이 글은 Kotlin In Action을 참고 하였습니다.더욱 자세한 설명이나 예제는 직접 책을 구매하여 확인 하시기 바랍니다코틀린의 람다는 자바8의 람다와 개념은 매우 비슷합니다.다만 표현하는 방식이 살짝 다를 뿐이라서 자바8의 기본적인 람다 사용법에 대한 이해가 있다는 가정하에 설명합니다.자바의 lambda에 대한 글은 http://tourspace.tistory.com/3?category=788398 를 먼저 읽어보고 오길 추천드립니다. 람다식은 자바8부터 사용이 가능합니다.또한 안드로이드에서 제대로된 functional interface를 이용하려면 N OS 이상이어야만 합니다.코틀린에서는 위 제한과 상관없이 사용할 수 있다는 점이 가장 큰 매력이 아닐까 싶습니다.(한 4년쯤 지나고 나면 아마도 .. 개발이야기/Kotlin 7년 전
[Kotlin] 코틀린 클래스, 인터페이스 이 글은 Kotlin In Action을 참고 하였습니다.더욱 자세한 설명이나 예제는 직접 책을 구매하여 확인 하시기 바랍니다코틀린은 Java와 같은 형태의 상속개념을 가집니다.인터페이스와 객체등의 성격도 그대로 물려받습니다만, 실효성을 강조한 언어인 만큼 자바에서 불필요하다고 생각됐던 부분들과 좀더 편한게 쓸수있도록 확장한 부분들이 존재합니다.예를들면 interface에 구현부를 갖는 함수가 들어갈 수 있으며, class의 기본값이 final 이면서 public 입니다.그외에 어떤점들이 다른지 다른부분에 초점을 맞춰 설명하겠습니다. 4.1 클래스의 계층4.1.1 kotlin interface코틀린의 interface에는 자바와 다르게 구현부가 있는 함수가 정의될 수 있습니다.단 어떤 멤버(field)도.. 카테고리 없음 7년 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