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xbinding] RxJava를 이용한 Android의 이벤트 처리 Reactive Android UI 안드로이드에서 기본적으로 발생하는 이벤트들은 각 view에서 제공하는 event handler를 사용하여 처리합니다. 가장 기본적으로 onClickListener를 만들어 view의 click을 감지하고, EditTextView의 글자 변경을 TextWatcher를 이용해서 감지합니다. 하지만 이런 코드들은 상당히 boilerplate 합니다. 이런 이벤트들을 Reactive 하게 변경 함으로써 좀더 simple한 코드사용이 가능하며, 더불어 Rx의 장점을 이용할수 있습니다. 여기서 Reactive의 장점이라 함은 그 자체의 장점인 callback에서의 해방을 의미하기도 하며, Observable의 다양한 operator를 사용할수 있음을 의미합니다. 이렇게 View의.. 개발이야기/Android 5년 전
[RxKotlin] Reactive 코틀린 #2 - Observable, ConnectableObservable Observable은 Consumer가 소비하는 값을 생성하는 역할을 합니다. Consumer들은 Observable에 구독을 신청하고, Observable은 값을 생성한 후에 Consumer들에게 push 방식으로 값을 전달합니다. Observable의 주요 이벤트 Observable은 주요하게 아래 event를 발생시킵니다. onNext(item T): 값을 전달할때 호출하여 값을 넘겨줌 onError(e: Throwable): 에러가 발생하면 호출함 onSubscribe(d: Disposable): 구독을 신청하면 호출해줌 이때 넘어오는 Disposable 객체는 Observer가 구독을 해제할때 사용함. onComplete(): 가지고 있는 값을 모두 전달하면 호출함. 따라서 위 callback .. 개발이야기/Kotlin 5년 전
Android Architecture Components #1 Guide to App Architecture Android Libraries - Architecture Components 안드로이드 O OS와 함께 새로운 라이브러리가 추가되었습니다. Lifecycle을 handling 할수있는 방법LiveDataViewModelRoom Persistence Libraray위에 언급된것들을 묶어서 Architecture Components라고 합니다. 여기서는 위 네가지에 대한 대략적인 concept만 얘기합니다. (overview 정도라고 보시면 됩니다.) 원문은 아래 링크에 있으니 참고 바랍니다. https://developer.android.com/topic/libraries/architecture/guide.html ViewModelviewModel은 특정 activity나 fragment에 데이터를 제공.. 개발이야기/Android 7년 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