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pose] Understanding compose lifecycle and recomposing with case study 이전 글에도 google summit에서 언급한 compose의 performance에 대한 글을 포스팅했지만, 어느 정도 compose의 사용법에 대해서 알고 나니 아무래도 성능에 대한 관심이 쏠립니다. 다르게 얘기하면 compose의 내부 동작에 대한 궁금증이 자꾸만 샘솟습니다. "내가 짠 좀 복잡한 화면의 compose 화면은 느린데, 왜 google은 compose가 쉽고, 빠르다고 하는걸까?" 에 대한 질문은 계속 던지게 됩니다. 따라서 성능과 내부 동작에 관현 글을 읽으면서 느끼는 건 딱 두 가지입니다. 1. "구글이 말하길 네가 compose를 잘 못써서 그래.. 마치 PC가 고장 나면 유저 탓인 것처럼??" 2. "성능 관련된 예제를 보면 이해가 가는데.. 당최 어떻게 써야 할지 감이 없네.. 개발이야기/Android 3년 전
[Compose] 1. 설정 및 기본 구성(1/2) - State, Hoisting, Recomposing Compose 란? Jetpack의 compose는 UI를 좀더 간편하게 개발 할 수 있는 toolkit으로 Kotlin으로 개발할 수 있고 reactive programing과 결합된 개발 모델 입니다. 여기서 reactive의 의미는 데이터가 변경되면 framework에서 해당 데이터와 연관된 Composable 함수들을 다시 호출하여 view를 업데이드 해주는 작업을 말합니다. 무엇보다도 compose는 여러 함수들을 호출하여 데이터를 구조화된 UI로 만들수 있는 선언형 UI라는 특징을 가집니다. 이는 일반 함수 처럼 보이는 함수에 @Composable annotation을 붙임으로 쉽게 Compose용 함수로 지정할수 있으며 Compose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변경되거나 유지하기 위해 이런 함수.. 개발이야기/Android 4년 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