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pose] 11. State holder Stateful 한 Composable이 존재할 때 state hoisting을 하기 위한 pattern과 이에 대한 장점에 대해서는 앞서 얘기했습니다. [1] Composable에 state가 여러 개 존재하는 경우 관리를 쉽게 하기 위하여 한 곳에 모아놓는걸 State holder라고 하며, 이럴 경우 Caller에서 상태를 좀 더 쉽게 제어할 수도 있습니다. 이외에도 연관있는 상태들을 한 번에 묶이므로 state hoisting이 좀 더 유연해지며, composable의 재활용성도 올라갑니다. 기본 예제 단순하게 입력을 처리하는 TextField를 아래와 같이 작성했습니다. @Composable fun FavoriteFoodInput(onFavoriteFoodInputChanged: (String).. 개발이야기/Android 4년 전
[Compose] 1. 설정 및 기본 구성(1/2) - State, Hoisting, Recomposing Compose 란? Jetpack의 compose는 UI를 좀더 간편하게 개발 할 수 있는 toolkit으로 Kotlin으로 개발할 수 있고 reactive programing과 결합된 개발 모델 입니다. 여기서 reactive의 의미는 데이터가 변경되면 framework에서 해당 데이터와 연관된 Composable 함수들을 다시 호출하여 view를 업데이드 해주는 작업을 말합니다. 무엇보다도 compose는 여러 함수들을 호출하여 데이터를 구조화된 UI로 만들수 있는 선언형 UI라는 특징을 가집니다. 이는 일반 함수 처럼 보이는 함수에 @Composable annotation을 붙임으로 쉽게 Compose용 함수로 지정할수 있으며 Compose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변경되거나 유지하기 위해 이런 함수.. 개발이야기/Android 4년 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