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반응형

 

오늘 첫 신문이 도착했다.

일하고 있는데 전화가 와서 첫 신문 잘 도착했냐고 물어본다.

"잠시만요 확인해 볼게요."

옥탑방에서 주섬주섬 내려와서 현관문을 나가니 신문이 와있다.

"네 잘 왔네요 감사합니다."

이렇게 오늘 첫 신문을 받았다.

 

세월이 이렇게 지나도록 내 돈으로 신문을 신청해서 볼 날이 생길 줄이야..

게다가 디지털 시대에 지면신문이라니.

 

바빠서 회사에서 네이버 기사를 잘 보지는 않지만, 출퇴근 시에는 항상 네이버 뉴스를 들여다보는 편이다.

주로 헤드라인 통합과 경제면인데, 아마.. 한 2년 전부터는 경제 Tab을 앞쪽에 위치시켜 놓고 봤던 거 같다.

나이를 먹어가니 세금에 대해 강제적으로 알아야 할 필요성이 생겼기 때문이다.

이 얘기를 하기에 앞서 일단 매경 구독신청방법을 알아보자면..

 

매일경제 구독 신청하기

먼저 매일경제 기사가 게재되는 웹 사이트가 아니라 구독 센터로 들어가야 한다.

http://subscribe.mk.co.kr/index.php?TM=S&MM=1

 

mk 구독신청

 

subscribe.mk.co.kr

가입방법은 유사하다.

1. 회원가입을 하고

2. 볼 신문의 종류 (지면, 지면+e신문)의 구독을 신청한다.

물론 E신문을 같이 보면 5000원이 더 비싸다.

e신문이야.. 굳이 돈 내고 볼 필요가 있냐만은 필요한 사람들이 있겠지..

3. 결재방법 신청 (자동계좌이체, 카드 자동이체)

단 여기서 중요한 건 반드시 익스플로러로 해야 한다는 점이다.

크롬으로 했더니만 결재 정보까지 다 입력하고 갑자기 튕기면서 로그인하라고 뜬다.

그럼 3~4일 만에 받아볼 수 있는데, 내 경우엔 신청하자마자 다음날 옴..

 

1년 구독료는 2만 원이며, 13,14개월 차에 두 달 공짜로 넣어주는 걸로 되어있다.

 

홈페이지 신청 vs 동네 아시는 분한테 신청

동네에 시장통을 지나다 보면 "신문~신문" 하시는 분이 있다.

구독신청을 하라는 얘긴데 사람을 통해 구독신청을 하는 경우 여러 혜택을 얻을 수 있다.

현금을 10만 원 정도 주는 경우도 있고, 아님 그냥 몇 달 더 넣어드릴게..라고 하시는 분도 있고.

하지만 홈페이지에서 신청하는 이유는 원할 때 딱! 손절하고 끊기 쉽기 때문이다.

우리는 "신문을 끊는 거 매우 어렵다"라는 아주 자명한 진리를 잘 알고 있기 때문이며, 일단 무언가 혜택을 받으면 그 사람한테 휘둘리게 되어 있다.

 

왜 지문 신문을 보는가?

다시 첫 글을 문단을 이어 보면, 왜 디지털 시대에 공짜로 볼 수 있는 신문을 돈을 내고 보냐는 거다.

나 역시 신문을 구독하기 전에는 그리 생각했다.

매경이든, 중앙이든, 한겨레든.. 요샌 네이버에서 다 볼 수 있는데,

아님 그 신문사 페이지에 들어가도 다 확인이 가능하다.

 

다만 내가 지문 신문을 보기로 한 이유는 딱 두 가지다.

1. 경제에 대한 관념이 너무 없다.

"비단 나뿐이겠는가"라는 자기 합리화를 할 수도 있다.

내 세대는 자라면서 유흥거리가 너무 많았기 때문에 정치, 경제에 대해서 등한시한 것도 사실이다.

하지만 나이를 한참 먹고 난 이후에 돌아보니 아는 게 없다.

코로나 때문에 어렵다고 돈을 퍼줄 순 있으나, 그에 따른 효과나 부작용은 무엇인지.

그 돈을 마련하기 위한 국채를 발행 후에는, 그에 대한 파급효과는 무엇인지.

아는 게 없다.

그뿐만이랴

지금까지 월급쟁이로 살아온 나에게 세금이란 월급날 알아서 떼 가는 소득세, 건강보험료.. 등등 그 조차도 계산방법을 잘 알지 못한다.

세금이.. 의외로 무섭다.

 

2. 두루두루 지나치면 알게 되는 게 많다.

정보화 시대라 데이터가 넘쳐나고, 우리는 검색을 통해서 손쉽게 원하는 부분을 선택해서 정보를 이용한다.

원하는 정보를 빠르게 얻는 게 실력이자, 효율성의 극대화를 이뤘다고 할 수 있지만, 지면 신문에서는 곁가지 지식들을 심어준다.

적어도 부동산에 관심이 있어 부동산 기사만 골라 읽는다 하더라도, 그닥 관심 없던 의료분쟁이라던가, 정치 이슈라든가 하는 바로 옆 기사 헤드라인 정도는 읽고 지나간다는 얘기다.

배트맨을 보러 극장에 갔더라도 같이 상영하는 다른 영화는 뭐가 있는지 제목 정도는 알 수 있다.

내용이 정확하게 모르더라도 팜플렛으로 줄거리나 주요 장면들은 한번 쓰윽 읽어보게 된다.

(요새는 영화 홍보용 팜플렛을 본 적이 없다. 언제부터 사라진 건지.)

 

현대인들은 사는 게 바쁘다.

나 역시 현대인이고, 회사일을 하다 보면 하루가 너무나 빠르게 지나간다.

오늘 온 신문을 얼핏 보니 관심기사만 읽는데도 한 시간은 족히 걸릴 것 같다.

부족한 시간을 쪼개어 신문까지 볼 수 있을지 고민도 했지만 그 한 시간이 즐겁고 재밌을 것 같아 기대되고 설렌다.

반응형

소소한 일상삶의 이야기카테고리의 다른글

6일간의 병원 일지  (0) 2023.01.28
코로나 백신 얀센 접종 후기  (0) 2021.06.11
생수지옥에서 벗어나다.  (0) 2020.06.21
2020 첫눈 오는날  (0) 2020.02.17
29개월..목욕탕을 가는 나이.  (0) 2020.01.16